전기차115 OBD 앱으로 점검 가능한 전기차 항목 총정리 전기차 OBD 앱이 필요한 이유전기차는 구조상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정비 항목이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과 정교한 전자제어 장치들이 복잡하게 작동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전기차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려면, 단순한 계기판 정보나 경고등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배터리는 차량 성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핵심 부품이기 때문에,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OBD 앱은 차량의 진단 포트(OBD2 단자)에 블루투스 또는 Wi-Fi 방식의 OBD 기기를 연결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받아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일반적인 주행정보 외에도, 배터리의 SoH(잔존 성능), 셀 간 전압 편차, 내부 온도, 충전 히스토리, 고장 코드(DTC) .. 2025. 6. 2. SoH 점검 가능한 OBD 앱 추천과 사용법 OBD 진단을 통한 SoH 확인이 필요한 이유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성능이 점차 저하됩니다. 이러한 성능 저하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SoH, 즉 배터리의 건강 상태(State of Health)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기차는 SoH를 차량 내부 시스템에서 직접적으로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 수치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습니다.이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OBD 진단기와 연동 가능한 전용 앱입니다. OBD(On-Board Diagnostics) 기기는 차량의 진단 포트에 연결하여 내부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읽어올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며,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폰과 연결해 앱을 통해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 2025. 6. 2. SoH 낮으면 무조건 교체해야 하나요? SoH 수치의 의미를 정확히 아는 것이 먼저입니다.전기차 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는 배터리의 현재 성능을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보통 신차 출고 시 SoH는 100%로 시작하지만, 운행 거리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SoH는 단순한 남은 충전 용량이 아니라,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 셀 간 밸런스, 내부 저항 등 여러 요소를 반영해 계산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주행 거리라도 운전자의 사용 습관이나 충전 방식에 따라 SoH 하락 속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많은 전기차 운전자분들이 SoH가 90% 아래로 떨어지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것 아닌가 걱정하십니다. 하지만 SoH 수치가 다소 낮다고 해서 바로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SoH.. 2025. 6. 1. 배터리 잔존 용량(SoH) 확인 방법 SoH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요?전기차를 오랜 기간 사용하는 소비자라면 한 번쯤 SoH라는 용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SoH는 State of Health의 약자로, 배터리의 현재 건강 상태 또는 잔존 용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SoH는 100%를 기준으로 하며, 새 배터리는 SoH가 100%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감소하게 됩니다. 이 값은 단순히 충전 용량이 아니라 배터리의 전체적인 성능, 셀 균형, 내부 저항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수치입니다.SoH가 낮아진다는 것은 배터리의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뜻이며, 이는 곧 주행거리 감소, 충전 속도 저하, 급속 충전 시 발열 증가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는 차량 가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2025. 6. 1. 전기차 검사 재검 비용 및 기간 정리 전기차도 종합검사에서 재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전기차는 구조상 엔진이 없고 배출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종합검사에서 유리하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그러나 실제 검사소에서는 전기차 역시 종합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며, 특정 항목에서는 오히려 더욱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특히 브레이크 제동력, 조향 정렬, 하부 고정상태, 외부등 점등 등은 검사 항목에서 빈번히 불합격 사유로 지적되는 항목입니다.전기차는 구조가 간단하다는 특성상 사용자가 문제를 인지하지 못한 채 검사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검사 장비는 아주 미세한 오차도 수치로 판별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체감하지 못했던 문제들이 불합격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흔합니다. 게다가 전기차는 회생제동 기능 탓에 브레이.. 2025. 5. 31. 전기차 검사 불합격 주요 사례 정리 검사 전 준비가 필요한 이유전기차는 배출가스가 없어 종합검사에서 불합격될 일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전기차도 차량으로 등록된 이상 일정 주기에 따라 종합검사를 받아야 하며, 배출가스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검사 기준은 내연기관 차량과 거의 동일하게 적용됩니다.특히 브레이크나 조향장치, 하부 부식, 외부등 이상과 같은 항목은 전기차에서도 자주 불합격 사유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전기차가 내연기관보다 고장이 적고 정숙성이 높다는 특성 때문에, 운전자 입장에서는 이상을 인식하지 못한 채 검사를 받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실제 검사소에서는 의외의 사유로 불합격되는 사례가 매년 늘어나고 있습니다.검사 일정에 맞춰 방문했다가 단순한 등화장치 문제, 제동력 불균형.. 2025. 5. 31. 이전 1 ··· 5 6 7 8 9 10 11 ··· 20 다음